1. 연산자와 피연산자 주어진 식(expression)을 계산하여 결과를 얻어내는 과정을 연산이라고 한다. 주어진 식에서 연산을 당하는 항을 피연산자(operand)라고 하며, 연산을 하는 기호를 연산자(operand)라고 한다. 2. 연산자의 종류 연산자의 종류로 총 9가지가 있다. 각 연산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2.1 부호 연산자 - 단항 연산자이다 양수, 음수를 표시하는 +, -를 말한다. char와 boolean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 타입에 사용할 수 있다. 부호 연산자를 쓴다고 값이 바뀌지는 않는다. 대입 연산자로 바뀐걸 대입해줘야 값이 적용된다. 2.2 증가, 감소 연산자(증감 연산자) - 단항 연산자이다 ++, --를 변수 앞, 뒤에 붙여 변수의 값을 1 더하거나 뺄때 사용한다. ..
0. 들어가기 자바의 자료형(Java data type 자바 데이터 타입)은 기본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으로 나뉜다. 이번 글에서는 자바의 기본 자료형(primitive types)에 대해 다룬다. 0.0 자료형(Data type)은 왜 있을까? 우리는 Java를 처음 배울 때 자연스럽게 int, double 등의 자료형을 사용하는 법부터 배운다. 존재 이유가 궁금하지 않은가? 자연과학과 비교하여 컴퓨터공학의 공부가 재밌는 이유는 어떤 개념이 누군가의 의도에 의해 도입되었고, 이를 항상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견을 거듭하는 과학과 다르게 사람이 만들어 발전만을 거듭하는 컴퓨터공학은 어떠한 것의 존재이유를 설명하기 쉽고 이를 설명하는 것이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호기심 충족으로 인한 재미는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처음 공부할 때 모든 것을 뷰(View)라고 통칭해 마음에 안 들 때가 있다. 도대체 뷰가 뭐야? 이유가 있었다 뷰 : 앱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의 통칭 앱을 실행하면 화면에 뭐가 나와야 쓰지 않는가? 그런데 화면을 구성하는 것들을 뷰라고 부른다. 하하 우리는 안드로이드 개발을 Java를 기반으로 한다. Java언어의 특징으로 Object클래스가 최상위 클래스다. 거기서 사실상 우리가 다루는 것들의 최상위 클래스를 View라고 만들었다. 한번 계층도를 볼까? 안드로이드 앱 화면에 나타내줄 것들을 개발자가 0부터 하지 않고 가져다가 쓰라고 친절하게 각각 클래스로 만들어 놓았다. 우리는 필요할 때 이를 import해서 사용하면 된다. 화면에서 사용하는 것들은 모두 View클래스의 상..
자바를 처음 공부할 때 헷갈리는 개념들이 많다. 자바의 컴파일부터 실행과정, 개발도구까지 확실하게 개념을 알아보자. 0. 자바를 이해하기 전 용어 정리 자바 코드의 컴파일과 실행 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헷갈리는 용어들이 등장한다. 먼저 정리해 보자. 1. 바이너리 데이터(binary data) : 0과 1로 구성된 데이터.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진 데이터라고 다 코드인 것은 아니다.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음악 파일 등 이진 형식의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2. 코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의 체계. 이진수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소스 코드를 줄여서 코드라고 부른다. 3. 바이너리 코드 : 이진수로 이루어진 코드 중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를 바이너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