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데이터베이스(DB)

개발/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등장 배경

DBMS의 등장 이전에는 어떻게 데이터를 관리했을까? 파일 시스템(file system)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였고, 이를 위해 파일을 생성, 삭제, 수정, 검색하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이 파일 시스템은 통합되지 않아 프로그램마다 관리하였다. 예를 들어 고객 관리 응용 프로그램, 주문 관리 응용프로그램이 각각 고객 데이터 파일, 주문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였다. 파일 시스템의 주요 문제점 1. 데이터 중복성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되었다. 앞선 예를 살펴보면 고객 관리 프로그램에서의 고객 데이터 파일에서도 고객 id, 전화번호가 필요하고 주문 관리 프로그램의 주문 데이터 파일에서도 고객 id, 전화번호가 필요하다. 이는 데이터 무결성(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

개발/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특성에 따른 데이터 분류 + 정성적 데이터, 정량적 데이터

앞서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태에 따라 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외에도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는 적합한 분석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통계적 관점에서 데이터를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통계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관점에서 분류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우선 데이터는 연산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크게 나눌 수 있다. 연산이 불가능하면 범주형 데이터, 연산이 가능하면 수치형 데이터이다. 1. 범주형 데이터(categorical data)(질적 데이터) 범주형 데이터는 범주(동일한 성질을 가진 범위)로 구분할 수 있는 값, 즉 종류를 나타내는 값을 가진 데이터이다. 크기 비교와 산술적인 연산이 불가능해 질적 데이터라고도 한다. 범주형 데이터는 순위를 매길 수 있는지 여부에 따..

개발/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형태에 따른 데이터 분류 - 정형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데이터는 구조화된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수집한 데이터가 구조가 있는지, 구조에 대한 설명과 내용이 같이 있는지, 정해진 구조가 없는지에 대해 분류할 수 있다. 정형 데이터 정형 데이터는 내용이 미리 정해진 구조가 있는 데이터이다. - 데이터 구조에 대한 설명과 데이터 내용은 별도로 유지된다. 엑셀의 스프레드시트,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등이 있다. 반정형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는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지만, 내용 안에 구조에 대한 설명이 같이 있는 경우이다. - 구조를 파악하는 파싱(parsing) 과정이 필요하다. 보통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HTML, XML, JSON문서, 센서 데이터 등이 있다. 비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는 정해진 구조가 없는 데이터이다. SNS의 텍스트, 영상,..

개발/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시스템(system)이란?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이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정보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등등.. 공부를 하다보면 시스템이란 말이 굉장히 많이 보이는데 시스템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시스템의 정의를 알아보자. 시스템(system) 네이버 국어사전 :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련 요소를 어떤 법칙에 따라 조합한 집합체. 위키백과 :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작용하거나 상호의존하여 복잡하게 얽힌 통일된 하나의 집합체. 또는 복잡한 사회적 체계의 맥락에서 구조와 행동을 통제하는 규칙들의 집합체. 여기서 집합체란 모을 집, 합할 합, 몸 체 자를 써서 많은 것이 모여 이루어진 덩어리이다. 위키백과에서 후자의 경우 제도, 체제를 지칭하는 말이고, 우리가 쓰는 시스템을 정의해보자면 시스템이란 어떠한 목적을 위해 관련되어 있는 것들이..

개발/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데이터(data)와 정보(information)의 차이는 무엇일까?

요약 데이터: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 정보: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것 데이터 데이터는 수집, 기록하여 저장되는 가공되지 않은 사실, 수치 또는 통계를 의미한다. 보통 조직화되지 않았으며 자체적으로 맥락이나 의미가 부족하다. 데이터는 숫자, 텍스트, 이미지 또는 멀티미디어와 같은 다양한 형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 목록(예: 1, 2, 3, 4) 또는 추가 컨텍스트가 없는 이미지 모음을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 정보 정보는 데이터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게 정보처리하여 의미가 부여된 데이터이다. 데이터를 분석, 해석, 의사결정, 이해 또는 소통에 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형태로 변환한 결과이다. 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판매 수치의 추세를 보여주는 ..

pabu
'개발/데이터베이스(DB)'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