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궁금한 게 너무 많은 pabu의 개발_log
개발

[HTTP] GET, POST method

0. 들어가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앱 등)가 데이터를 화면에 띄우기 위해서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야 하는데, 이 때 HTTP 요청 메서드를 사용하고, 서버는 해당 요청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제공한다. HTTP 요청 메서드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GET과 POST가 되겠다. 오늘은 GET, POST에 대해 알아보자 1. GET method HTTP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웹 페이지를 가져오기 위해 먼저 GET method가 도입되었다. GET 요청은 URL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데이터가 URL의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에 포함되어 보내지는데 ( 예: www.exam..

개발

메타태그(meta tag), 메타데이터(meta data)란 무엇일까?

0. 들어가기 우리는 궁금한 것을 검색할 때 구글 검색창을 자주 이용한다. 그리고 보통 맨 위에 뜨는 사이트부터 클릭해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1페이지 몇 개만 눌러보게 되고 2페이지 이후를 보는 일은 거의 없다. 사이트를 운영하는 사람은 구글 검색에서 상위 노출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게 된다. 예를들어 호텔 사이트에서는 예비 고객층에게 사이트를 노출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을 것이다. 어떻게 상위에 노출될 수 있을까? 기본적으로 구글의 검색엔진 최적화(SEO)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 상위에 랭크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SEO 기본 가이드 문서가 따로 존재한다. 최신 정보, 지역 뉴스, 신경망 시스템 등 많은 것이 영향을 주지만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것 중 하나는 메타태그이다. 메타태그..

개발

Ajax(정보 교환 기법) 에이잭스를 알아보자

0. 들어가기 Fetch API를 찾아보니 Fetch는 Ajax의 최신 버전이라고 한다. Ajax가 뭔지 먼저 알아봐야겠다. 0.1 에이잭스란? Ajax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의 약자로, 웹 페이지에서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가져와 화면을 갱신하는 웹 개발 기법이다. 비동기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지 않고도 동적으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이름에 XML을 명시하고 있긴 하지만, JSON이나 일반 텍스트 파일같은 다른 데이터 오브젝트도 사용 가능하다. 요즘은 JSON을 주로 다룬다. 1. Ajax 이전 - 전통적인 웹 어플리케이션 기존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에서 폼 채워 제출 ..

개발/Java

[Java] Scanner 스캐너는 왜 close()를 해야 할까?

0. 들어가기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 num2;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num1 = scanner.nextInt(); num2 = scanner.nextInt(); System.out.println("두 수의 합은 = " + (num1 + num2)); } } 정수 num1과 num2를 입력받아 프린트하는 단순한 코드이다. java.util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Scanner 클래스를 scanner객체로 인스턴스화 하고, scanner객체를 사용하여 int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위 코드를 elips에서 보면..

개발

메모리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0. 들어가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가야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 메모리의 부분을 나눠 메모리 구조를 설계했다. 각각의 메모리 구조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데, 메모리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1. 메모리 구조 1.1 Code segement Code segement는 text ,code section(코드 세그먼트;텍스트;코드 섹션)이라고 불리며, 실제 프로그램의 실행 코드가 저장되는 곳이다. CPU가 명령어를 가져와 실행하는 곳이며, 프로그램 실행 중에는 메모리의 읽기 전용 영역으로 관리되어 코드를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1.2 Data Data는 데이터 영역, 데이터 섹션으로 불리며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끝까지 유지..

pabu
파부로그